도덕적 존재가 된 이유 #1. 동물과 인간의 도덕의 차이

동물과 인간의 도덕의 차이

동물과 달리 인간은 도덕적 존재라는 말이 있습니다.

오직 인간만이 본능과 싸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동물의 본능을 용인하는 것이 도덕적이고 그것을 용납하지 않는 것이 도덕적이지 않습니까? 이 의견에 동의한다 해도 왜 우리만 자신의 욕망을 억누를 수 있을까? 우리는 신이 선택한 고귀한 존재이기 때문일까, 아니면 본능과 싸우도록 진화했기 때문일까.

사자가 새끼 물소 새끼를 잡아먹는 것은 부도덕한 일이 아니다.

이것은 사자가 초식 동물을 먹도록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동물이 자신의 도덕성을 정의할 수 있다면 이 경우 도덕성은 그것이 나에게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사자가 무력한 새끼 버팔로를 힘들이지 않고 잡아먹었을 때, 사자는 도덕적 행위를 저질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어느 수컷은 알파수컷과 공정하고 정직하게 싸우는 것을 포기하고 암컷인 척 몰래 다가가 은밀하게 짝짓기를 한다.

. 불쌍한 암캐는 상대가 백마 탄 왕자가 아니라 사기꾼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합니다.

동물의 세계는 그러한 겉보기에 부도덕한 도덕적 행동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이 같은 일을 하는 것은 분명히 비도덕적입니다.

우리는 부도덕을 처벌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방식으로 도덕적입니다.

이런 점에서 인간은 매우 특별한 동물인 것이 사실입니다.

인간은 이익보다는 의무라는 측면에서 도덕성을 재정의할 수 있는 유일한 피조물입니다.

그것이 신의 선물이든, Hobbes가 표현한 것처럼 자유를 양보하는 대가로 만들어진 제품이든, 우리는 삶의 모든 순간에서 도덕적 존재가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물론 때때로 우리의 욕망은 선을 넘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갈애가 실현되지 않는 행위이기 때문에 갈애가 개입할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억누를 뿐입니다.

누구에게도 보여주고 싶지 않은 나의 추악한 욕망.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보여줄 수 없는 것. 그런 생각이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찰나의 순간을 알아차리면 우리 안에 있는 동물과 야생의 본성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얼마 후,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내 내면의 악마나 나를 해치는 다른 악마의 현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안도감을 느낍니다.

그러나 악마가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잡히지 않을 수 있는 곳이 여전히 많이 있습니다.

다행히 우리는 21세기 대한민국이라는 문명국에 태어났습니다.

이제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존재하거나 폭력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걱정하지 않고 살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보다 차별화된 방식으로 폭력을 행사할 수 있는 정부 기관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의 도덕성이 어떤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를 희생하면서 우리는 도덕의 이면, 그림자 속에 도사리고 있는 거친 도덕을 인정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다른 동물처럼 유용성 측면에서 도덕성을 보지 않습니다.

그들 중 절반은 실제로 그렇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에게 도움이 되고 기쁨을 주는 것을 추구하며 살아갑니다.

누구나 기억할 수 있는 한 사람들은 함께 걷고, 창을 만들고, 고기를 먹기 위해 함께 일했습니다.

고기가 맛있어서 사냥을 한 건지, 고기를 먹어서 고기를 좋아하게 진화한 건지 모르겠다.

어느 것이 먼저 오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닭고기든 쇠고기든 어떤 고기든 맛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고기가 심하게 덜 익거나 타지 않는 한 고기를 즐깁니다.

그래서 우리는 소를 기르고 죽이고 고기를 먹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동물의 도덕에 따라 행동합니다.

마치 사자처럼 동물적 본능에 충실한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나 자신의 쾌락을 위해 상처를 주거나 무기력한 삶을 상처받도록 내버려 두는 것은 부도덕하지 않을까요? 물론 삼겹살 방종을 포기할 생각은 없지만 도덕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도 있다.

어떤 사람들은 즐거움을 위해 다른 생명체를 해치는 것이 부도덕하다고 믿습니다.

치킨과 스테이크를 기꺼이 포기하는 사람들.

다음글에 계속…